본문 내용 바로가기상단메뉴 바로가기

전시생물

주요시설

  • 주요시설
  • 자연생태박물관
  • 전시생물

전시생물

  • 프린트
검색
  • 아시안 포레스트 전갈 Asian forest scorpion・亚洲雨林蝎・チャグロサソリ
  • 아시안 포레스트 전갈 Asian forest scorpion・亚洲雨林蝎・チャグロサソリ

    작성자 : 관리자 l 작성일 : 2024-09-11

    ■ 학 명 : Heterometrus silenus ■ 영 명 : Asian forest scorpion ■ 서식지 : 동남아시아와 그 인근 지역 ■ 크 기 : 약 16㎝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아시아의 열대지역에서 서식하는 대형 전갈이다. 바닥에 굴을 파고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한다. 몸은 검은색 또는 갈색이며, 햇볕을 쬐면 푸른빛을 띤다. 독이 약한 대신 더듬이다리가 변형된 크고 힘이 센 집게로 먹잇감을 제압한다. 외모가 황제전갈과 비슷하지만, 더 공격적이다. 태어나서 성체로 성장하기까지 약 2~3년이 걸리며, 다른 절지동물에 비해 성장이 느린 편이다.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몽골리안 저빌 Mongolian gerbil・长爪沙鼠・スナネズミ
  • 몽골리안 저빌 Mongolian gerbil・长爪沙鼠・スナネズミ

    작성자 : 관리자 l 작성일 : 2024-09-11

    ■ 학 명 : Meriones unguiculatus ■ 영 명 : Mongolian gerbil ■ 서식지 : 몽골 스텝 지대와 준사막 지대 ■ 크 기 : 몸길이 약 10㎝, 꼬리 길이 약 10㎝ 몽골과 만주의 반사막 지역에서 여러 개의 방과 입구로 된 땅굴을 파고 생활한다. 쥐과 황무지쥐아과(저빌)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종으로 애완 또는 실험용 동물이다. 몽골의 건조한 사막에서 살아남기 위해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수 있는 긴 다리와 거친 풀을 씹을 수 있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으며, 지방을 축적하기 위한 물 저장 기술을 발달시켰다. 청각과 후각이 예민하며, 발구르기로 의사소통한다.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 슈가글라이더 (유대하늘다람쥐) Sugar glider・蜜袋鼯・フクロモモンガ
  • 슈가글라이더 (유대하늘다람쥐) Sugar glider・蜜袋鼯・フクロモモンガ

    작성자 : 관리자 l 작성일 : 2024-09-10

    ■ 학 명 : Petaurus breviceps ■ 영 명 : Sugar glider ■ 서식지 : 오스트레일리아와 인도네시아의 작은 섬 ■ 크 기 : 몸길이 약 14~18㎝, 꼬리 길이 약 17.6~19㎝ 오스트레일리아와 인도네시아의 산림에서 서식한다. 하늘다람쥐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털이 매우 부드럽다. 새끼를 낳으면 캥거루처럼 육아낭에서 기르고, 그 뒤에는 등에 업어 키운다. 야생에서는 낮에 나무의 빈 구멍에 만든 보금자리 속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나무 위에서 민첩하게 활동하고, 하룻밤에 매우 먼 곳까지 활공한다.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슈가글라이더’라는 이름은 달콤한 먹이를 좋아하는 습성과 날다람쥐처럼 활강하는 능력 때문에 붙여졌다.

  • 친칠라 Chinchilla・南美洲栗鼠・チンチラ
  • 친칠라 Chinchilla・南美洲栗鼠・チンチラ

    작성자 : 관리자 l 작성일 : 2024-09-10

    ■ 학 명 : Chinchilla lanigera ■ 영 명 : Chinchilla ■ 서식지 : 안데스산맥 ■ 크 기 : 몸길이 약 22.5~38㎝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의 건조한 지역에서 서식한다. 모피가 실크처럼 섬세하고 부드러워 고대부터 부드러운 털을 얻기 위해 희생됐으며, 야생에서는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1913년 프랑스의 한 전시회에서 ‘친칠라’라는 동물이 처음 등장했으며, 원래 친칠라라는 동물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달랐다. 이 친칠라의 모피는 꽤 매력적이었지만, 패턴이 균일하지 못해서 사람들은 친칠라의 모피를 다른 동물에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 비슷한 모피를 가진 토끼가 탄생했고, 이름 또한 친칠라라고 불리게 되었다.

27건 페이지 4/7